Process FMEA 예제 1가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대표적인 Process FMEA의 흐름 예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이 예제는 단편적이긴 하지만 공정 FMEA를 작성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며, 개선한 문제점이 컨트롤 플랜(control plan)과 Process Flow Chart, 작업지시서(작업 관리서, 작업표준서) 등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간단한 예로 들어봅니다. 1. 문제점을 돌출하라 문제점을 돌출하기 위해선 디자인 FMEA를 통해 문제를 찾거나, 제품을 분해해보면서 해당 문제 점의 관리 포인트와 요구되는 요구사항을 추출하게 됩니다. 참고로 이 모든 작업은 한 명이 진행하는 것이 아닌 CTF로 운영되게 되며, CTF로 운영되는 이유는 독창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문제를 추출하고, ..
FMEA를 하다보면 많인 용어들이 나오고 이 부분을 아무리 들어도 헷갈린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물론 이렇게 작성해도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그래도 이번 포스팅에서 검출도, RPN, 권고조치 사항에 대해 내용을 좀 다루도록하겠습니다. 1. FMEA 검출도 검출도라는 것은 FMEA 활동 중 해당 문제가 공정이든 설계적인 측면이든 얼마나 잘 걸러낼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수치입니다. 사실 검출도라는 것이 FMEA에 있어선 가장 고정된 값을 재공 하는데, 큰 틀에선 완전 자동화 반자동화 수동 형태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조금 더 크게 분류해 10단계로 구분 짓게 됩니다. 위 3가지 범위만 인지하더라도 상당히 큰 틀에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실 FMEA 용어 자체가 영문을 번역해오면서 해당 분야의..
아이들의 상상력을 뽐낼 수 있는 도구들은 상당히 많죠. 일단 그림을 그리는 것이 기본이 될 수 있고, 클라임인가? 그것도 있고, 색종이 접기, 만들기 등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아이들 작품은 레고와 칼 만들기이네요 레고는 정말 창의력을 뽐뿌 할 수 있는 특수한 아이템이고, 어른이 돼서도 잊지 못할 키덜트를 만들어내는 주요 핵심 장난감이죠. 사실 장난감이라고 하기엔 가격도 상당히 고가이고, 너무 전문적으로 다루는 분들이 많아서 장난감 이상의 공학 아이템이라 생각될 정도이긴 합니다. 레고는 1가지만 갖고 있을 때는 상상력에 있어 한계가 분명한 것 같습니다만, 하나씩 늘어날수록 확장할 수 있는 영역이 무한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위 만들어놓은 작품만 보더라도 여러 가지 레고 브릭을 이용한..
요즘은 인터넷이 워낙 발달되다 보니 도안이라고 하죠? 종이 접이를 하기 위해 밑그림이 그려진 도면을 재공 하는 것을 도안이라고 하더군요. 인터넷이 발달했다는 것은 이러한 도안을 스스로 만들어서 무료로 배포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졌다는 점이 되겠네요! 어떤 분이 공개해준 쿠키런 도안(도면)을 프린터로 출력해 애들이 자르고 접어볼 수 있도록 해봤습니다. 특히 종류가 많아서 몇 장만 먼저 뽑아봤는데 색감이 상당히 괜찮았고, 그림도 꽤 괜찮아서 좋더군요. 아이들도 실제로 상당히 좋아했고 말이죠. 코로나가 확산되는 것도 있고 거리두기가 (5인 이상 집합 금지인데... 5인 가족.....) 때문에 사람들을 만날 수가 없으니, 이런 것이라도 하고 즐기라고 출력해서 가져다줬습니다. 뭐 상당히 쉬워 보여서 출력해준 것이..
상상력은 아이들의 큰 힘이 되고 어른이 돼서도 상상력으로 먹고살 수 있는 직업들은 상당히 많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런 점에서 자녀들 중 공부를 못하지만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한다면 밀어주는 게 맞다 생각하고, 이런 부분에 있어선 스스로도 실천 중이라... 뭐 이 말에 어느 정도 책임을 지고 있는 것 같긴 하네요. 요즘 아이들 세계에선 로블록스인가? 그 게임의 프라이데이 펑킨 인가하는 게임이 인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 시대를 생각하면 디디알이나 eZ2dj ? 정도와 비슷한 것 같고, 온라인에선 dj max라는 것과 비슷한 개념인 것 같은데.. 게임성은 상당히 좋진 못합니다. 타격감도 전혀 없고 잘 맞지도 않고 말이죠. 그래도 아이들은 그 음악과 게임을 하는 배경 화면과, 주변 사람들과 함..
우주항공과 자동차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Process FMEA는 NASA의 로켓 개발 과정과 자동차의 개발과정에, 잠재적 고장원인을 미리 분석하고 관리하며, 추적관리까지 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하나의 실수 방지 기법입니다. Process FMEA이란? 실수를 방지한다는 것은 제품의 설계와 공정을 구성하기 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미리 파악된 문제 요소를 하나씩 리스트 해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순위가 지정되면 살아있는 문서로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고, 이를 위해 CFT 및 TFT를 구성해 개선활동을 이어나가게 됩니다. 이 과정은 설계적인 단계와 공정 개발 단계 두 곳에서 모두 진행되게 됩니다. FMEA를 통해 얻어낼 수 있는 결과물은 설계적 결함을 사전에 차단하고, 공정의 ..
아직도 윈도 사용자 중 HDD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CPU와 메모리는 어느 정도 기본 사양을 갖추고 있으니, 자신이 생각한 것보다 성능이 안 나와 답답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겠죠. 이런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 슈퍼 패치와 레디 부스터 기술입니다. 1. 슈퍼 패치 기술 기억이 맞다면 윈도 XP 시절부터 있던 기술이며 그 당시엔 슈퍼 패치가 아니라 다른 이름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윈도 7에서 성능을 대폭 올리며 이 이름으로 불리게 됐습니다. 윈도 10에선 sysmain 이란 이름으로 존재합니다. 이 기술은 SSHD처럼 자주 사용하는 파일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가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이렇게 저장된 메모리는 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너..
m.2 NVME SSD는 상당히 진보된 최종 스토리지라 보시면 됩니다. 물론 더 고사양이 있지만 일반인이 상용하는 범위 내에선 이 스펙이 가장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1. m.2 NVME는 얼마나 좋은가요? 가격이나 가성비를 제외한 성능만을 놓고 볼 때 아래와 같은 순서가 됩니다 HDD < SSHD < SSD < M.2 NVME SSD 물론 가격만 높고 볼 때는 위와 반대의 결과가 나오겠지만, 요즘 소비자들은 상황에 따라서 어느 정도 타협 가능한 수준이라면 고성능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니 선호하는 추세도 위와 비슷하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무래도 선호하는 것은 대중성이나 가격적인 면에서 가장 우수한 SSD TLC 제품군이 가장 유력하겠네요. 2. NVME 성능은 좋은가? 일단 NVME SSD는 일..
정확히 SSHD는 하드디스크의 장점과 SSD의 장점을 고루 갖춘 딱 중간형 제품이며, 현재는 사양길로 가고 있지만(애매한 포지션이라) 아직까지 제품이 나오고는 있으니 가격 대비 적절한 성능을 원하신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엔 SSHD가 어떤 형식으로 구동되고, 어떤 부분들이 들어가며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SHD란? 정확히는 Solide state hybrid Drive의 약자이며 하이브리드라는 용어에 맞게 SSD와 HDD의 각 장단점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는 HDD는 속도 문제로 불만이 많고, SSD는 사용하고 싶지만 가격이 높아 구입을 꺼려하는 분들을 위한 대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저 또한 사용한 적이 있고 지금도 갖고 있는데, ..
SSD는 Solid state drive라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저장공간입니다. 사실 완벽하게 대체할 수는 없고 저장공간 대비 가격이 다소 높기 때문에, 메인 저장공간으로서 SSD가 사용되게 됩니다. 1. SSD란? 1) SSD를 판매하는 회사들 SSD를 다루는 회사는 인텔과 마이크론, 샌디스크, 삼성전자 등을 주요 기업이라 보시면 되는데요. SSD가 보급되던 초기 시점엔 intel SSD 320 시리즈가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인텔 브랜드 입지도는 상당했지만, 최근엔 삼성전자가 컨트롤러의 안정성과 가격 대비 성능, 용량면에서 크게 앞서며 인지도를 꺾어내고 있습니다. 2) SSD 란? 위에서도 잠깐 언급드렸지만 SSD는 반도체 소자인 Flash Memory (NOR가 아닌 NAND ..
앞전에 HDD와 SSD에 대한 비교 자료를 간략히 작성했었고, 이번엔 HDD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알아두면 좋은 내용이라 생각해 작성합니다. (약간 전문 용어가 포함될 수 있음) 1. HDD란 HDD는 하드디스크라고도 불리고 Hard Disk Drive라고도 불리는 물리적인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밑으로 내려가면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지만, 부품 전체가 수동적인 물리 소자들을 많이 사용해 점점 사양길로 넘어가고 있는 제품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 존재 자체는 분명 필요성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앞으로도 하드디스크는 지속적으로 판매될 것이라 SSD와의 차이점을 알아두신다면 분명 유용하실 겁니다. (최근은 2.5인치 SSD에서 M.2 NVME S..
오래전 하드디스크와 SSD에 대한 글을 다루었던 적이 있습니다만, 새롭게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다시 한번 이 부분에 대해 다루는 것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드디스크 = HDD = Hard Disk Drive SSD = Solide State drive 아직도 하드디스크(HDD)와 SSD는 혼용돼서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번 내용에선 그러한 부분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포스팅에선 두 제품군에 대한 큰 틀에서의 차이점을 보고, 다음 포스팅에서 조금 더 세부적인 내용과 최근 많이 사용되는 m-sata 방식의 ssd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DD vs SSD 대표적인 차이점은? 1) HDD란? HDD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라 부르며 내부 회전판인 플레터..